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교우관계 분석 프로그램 자문위원

본문

 교우관계 분석 프로그램 자문위원

 


  • 서울대학교 장덕진 교수

  • 시카고대학교 사회학 박사 
  •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 한국사회학회 총무이사
  • Development and Society 편집위원장
  •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 소장


  교우관계분석 관련 논문 >>  장덕진(2000). 학급내 연결망과 학습성과. 사회과교육학연구(4). pp 161-185.


논문내용 소개 >>


학생들간, 학생과 학부모간 존재하는 연결망이 학습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고자 한 논문입니다. K고등학교의 1학년 학급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위의 그림과 같이, 학생들의 일상세계의 다양한 관계를 포착할 수 있는 6문항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학급내 연결망의 구조를 파악하고, 각 연결망에서 학생들이 차지하는 위치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습니다. 


[그림 5] 같은 발표조에 속하는 친구의 연결망 

- 네번째 선택까지

[그림 6] 부모 연결망-네 번째 선택까지


설문조사를 통해 얻어진 관계 데이터를 가지고 종류대로 맵을 작성하여 학습연결망, 부모연결망, 허용된 여가 연결망, 금지된 여가 연결망, 진지한 의논 연결망, 좋아하는 친구 연결망의 6개의 연결망이 생성되었습니다. 각각의 연결망과 담임선생님이 파악하고 있었던 하위집단(그룹)들의 특성은 아래 표와 같이 나타났습니다.


 

학습연결망 

부모연결망 

허용된 여가 

금지된 여가 

진지한 의논

좋아하는 친구 

 노는 그룹

- 일부 고립

- 리더 바뀜 

- 대체로 고립 

- 한 명만 고립
- 상호선택 없음 

- 일부 고립
- 나머지는 밀접한 상호선택 

- 고립되지 않았으나 결속력 없음

- 한 명만 고립
- 상호 선택
- 폐쇄성 약화 

 허용된 여가 그룹

- 상호선택
- 외부로부터의 선택 많음 

- 늦게 합류한 1명을 제외하고 쌍망적 선택 

- 고립 없음

- 밀접한 상호 선택 

- 늦게 합류한 1명을 제외하고 밀접/상호선택 

- 밀접한 관계
- 외부로부터 많은 선택 

- 밀접한 관계
- 외부로부터 많은 선택 

회피 그룹 

- 리더에 준하는 경쟁자 있음
- 한 명은 그룹 외부에 존재
- 나머지 구성원간 위계적 관계

- 대체로 고립  

- 고립 없음
- 일부 구성원은 '연결망 스타' 

- 외부 통로 없는 폐쇄적 그룹 

- 외부와 일부 통로 가지고 있음 

- 결속력 높음
- 한 명은 그룹으로부터 분리 가능성 높음 

같이 앉는 

그룹

- 폐쇄적 그룹
- 외부와의 통로 단절 

- 대체로 고립 

- 대체로 고립 

-  외부 통로 없는 폐쇄적 그룹

- 고립되지 않았으나 구성원끼리도 간접적 연계

- 일부 외부로부터의 선택 있으나 폐쇄성 유지 

주먹 그룹

- 결속력 없음 

- 완전히 고립 

- 대체로 고립 

- 결속력 없음 

- 대체로 고립

- 결속력 없음

- 리더가 고립
- 결속력 없음 

적극적 부모 

그룹 

- 고립 없음
- 흩어져 있음 

- 고립 없음 

- 대체로 고립 

- 일부만 고립
- 흩어져 있음 

- 고립 없음
- 흩어져 있음 

- 고립 없음
- 흩어져 있음 

따돌림 그룹

- 한 명 고립
- 흩어져 있음 

- 대체로 고립 

- 완전 고립 

- 완전 고립 

- 일부 고립 

- 고립 없음
- 흩어져 있음 

교사가 보는 

인기 그룹 

- 고립 없음
- 흩어져 있음 

- 일부 고립 

- 대체로 고립 

- 대체로 고립 

- 일부 고립

- 고립 없음
- 흩어져 있음 

<표 2> 일상세계 영역에 따른 연결망 하위집단들의 특징


소셜네트워크 분석(SNA) 방법을 이용하여 연결망 내에서 각 학생들이 가지는 다양한 특성을 지수화 하고, 이것이 학습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습니다. 


분석한 결과, 연결망에 나타난 하위집단(그룹) 중 폐쇄성을 지니는 집단은 학습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학습 성과가 높은 학생들일 수록 개방적인 연결망에 속하거나 고정적 연결망이 없이 학급 전체에 흩어져 나타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학습연결망과 부모연결망은 학습성과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지만 나머지 4개의 연결망은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음을 발견하였습니다. 


학습연결망은 특히 확산적인 성격의 연결망이므로 많은 학생들이 이 연결망의 잇점을 누리도록 적극 권장되어야 하며, 부모연결망의 경우 학습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매우 단절적이기 때문에 이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제도적 대안을 검토해볼 시점이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 있습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